top of page

 『신도시_APT ; 겹쳐진 풍경, 교차하는 시선』

New Town _APT / Layered Sceneries, Crossing Gazes

 

도시는 언제나 풍경의 총체로 존재하지 않는다. 그것은 구조물의 집합체이자 삶의 축적이며, 동시에 익명성과 분절된 감정이 얽힌 복합적인 층위다. 『신도시_APT ; 겹쳐진 풍경, 교차하는 시선』는 바로 그 복잡한 도시의 결을 포착하려는 회화적 시도이며, 동시대 도시인의 삶과 감정, 존재의 흔적을 색과 빛으로 직조하는 장이다.

 

이 전시는 작가가 동탄신도시로 이주하며 마주한 신도시의 풍경과 그 속의 감각적, 정서적 경험을 기반으로 출발한다. 계획된 구조와 반복된 건축 형태, 무표정한 아파트 단지는 익숙하면서도 낯설고, 안정적이면서도 기묘한 불안을 내포한다. 작가는 이러한 신도시의 모순된 감각을 단순한 외형의 재현이 아닌 회화적 해체와 재구성을 통해 새롭게 사유한다.

 

작업은 도시 야경의 규칙적인 빛의 도상에서 출발한다. 그러나 이는 단순한 재현이 아닌, 현대 사회 구조 속에 숨겨진 긴장과 균열, 불안과 희망이 교차하는 시점을 드러내기 위한 장치다. 반복되는 붓질로 켜켜이 쌓인 물감층, 의도치 않게 흘러내린 흔적, 색 조각들을 자르고 겹치는 행위는 도시의 외형을 해체하고, 그 안에 스며든 감정의 층위를 드러내는 회화적 탐색이다. 그림자 없는 이미지에 부여된 미묘한 볼륨은 실재의 환영과도 같으며, 색과 빛의 실험적 교차는 이미지와 비이미지, 사실과 허구의 경계를 흐린다.

 

작가에게 회화는 단순한 목적성을 지닌 재현의 도구가 아니다. 그것은 감각과 경험, 구조와 감정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펼쳐지는 자유로운 탐구의 장이다. 겹쳐진 색면은 서로 다른 층위의 감각이 충돌하고 교차하는 장소이며, 관람자의 시선을 유동적으로 이끈다. 그 속에서 시간성과 생동감이 발생하고, 관람자는 그 안에 내재된 다양한 존재들의 시선과 교차하게 된다.

 

『겹쳐진 풍경, 교차하는 시선 ; 신도시_APT』는 단순히 도시의 외관을 재현하거나 도시적 정서를 묘사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그것은 도시라는 거대한 캔버스 위에 인간의 감정, 정체성, 구조, 소외의 층위를 중첩시키는 시도이며, 그 안에서 회화가 현실의 복잡성과 마주하는 방식에 대한 탐색이다. 익숙한 풍경 속 이질감의 틈을 감지하고, 그것을 색과 빛, 반복과 변형의 조형 언어로 풀어내는 이 작업은, 도시라는 집합적 배경 속에 잊힌 개인의 감각을 다시 호출하며, 회화가 동시대 사회를 읽어내는 하나의 시선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이 전시는, 도시의 구조와 삶의 구조, 감정과 풍경이 겹쳐지는 그 지점에서, 회화가 현실을 사유하는 새로운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2025 한조영

 

 

 

Layered Sceneries, Crossing Gazes ; New Town_APT

 

Artist Statement / Exhibition Text

 

The city does not always exist as a totality of scenery. It is a constellation of structures, an accumulation of lives, and at the same time a complex stratum where anonymity and fragmented emotions intertwine. New Town_APT ; Layered Sceneries, Crossing Gazes is a painterly attempt to capture these intricate textures of the city, weaving the traces of contemporary urban life—its emotions, structures, and existences—into a fabric of color and light.

 

This exhibition originates from the artist’s relocation to Dongtan New Town, and from the sensory and emotional experiences within that urban landscape. The planned structures, repetitive architectural forms, and impassive apartment complexes appear familiar yet estranging, stable yet imbued with an uncanny unease. Rather than reproducing such paradoxical impressions through mere depiction, the artist seeks to reconfigure and reimagine them through painterly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The works take their point of departure from the regular iconography of city lights at night. Yet they are not representations, but devices that reveal intersections where tensions and fractures, anxieties and hopes embedded in modern social structures emerge. Layer upon layer of brushstrokes, accidental drips of paint, and acts of cutting and overlapping fragments of color dismantle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city, exposing its latent emotional strata. The subtle volumes within shadowless images resemble the illusion of reality itself, while experimental crossings of color and light blur the boundaries between image and non-image, fact and fiction.

 

For the artist, painting is not a tool for straightforward representation. It is a field of open exploration, unfolding where sensation and experience, structure and emotion intersect. Overlapping planes of color serve as places where different layers of perception collide and intersect, guiding the viewer’s gaze in shifting directions. Within this dynamic, temporality and vitality emerge, and the viewer encounters the multitude of perspectives embedded in the work.

 

Layered Sceneries, Crossing Gazes ; New Town_APT does not merely depict the exterior of the city or illustrate an urban sentiment. Rather, it attempts to superimpose layers of human emotion, identity, structure, and alienation upon the vast canvas of the city, exploring how painting may confront the complexity of reality. By sensing fissures of estrangement within familiar landscapes, and unfolding them into a visual language of color, light, repetition, and transformation, the work reclaims the forgotten perceptions of individuals within the collective urban backdrop. It suggests painting as a way of reading contemporary society.

 

This exhibition seeks to explore the possibility that painting, at the point where the structures of the city and the structures of life, emotions and landscapes overlap, may operate as a new mode of reflecting on reality.

 

2025

Han, Joyoung

 

bottom of page